티스토리 뷰


『 태양광 발전 사업 수익구조와 수익률 』


사업을 하고 계신분들이라면 아실테지만 어떠한 사업이건 수지분석을 통해 수익구조를 반드시 체크하고 진행을 하셔야겠죠? 우선 우리가 가장 궁금한 것은 태양광이니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익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1. SMP (계통한계가격)

2. REC (공급인증서가격)


이 두가지는 기본적으로 반드시 숙지하셔야하며, 태양광 발전 사업 수익구조와 수익률 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1. SMP란?

한국전력이 태양광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구매할 때 설정된 가격입니다.

쉽게말하면 전기세라고 보시면되요. 우리가 가정에서 전기를 사용하면 한전에다가 전기세를 내잖아요? 반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한전에서 우리가 생산한 전기를 가져가는 것이니 우리에게 전기세를 내는 것이라고 보면 되는데 흔히들 한전에서 전기를 구매한다라고 표현을 하죠.


가격 자체가 고정된 가격이 아닌 매일, 매시, 매분 마다 변동이 되며, LNG가격에 많이 좌우가 됩니다. 또한 전국의 태양광 발전사업자에게 지급되는 단가는 모두 동일합니다.


2. REC란?

공급의무자인 18개 발전사들이 의무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를 판매하여 생기는 수익구조입니다. 쉽게말해서 정부에서는 기업들에게 사용하는 에너지의 00%이상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라고 하는데 사실상 바로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다른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지급받은 공급 인증서를 발전사들이 구입하여 그 비율을 채우라는 것이죠.


3. 수익률 계산



위의 예시는 가장 많이 설치하는 용량의 태양광 발전소를 기준으로 보여드린 것입니다. 

여기서 100kW 발전소 기준으로 한달 생산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 100[kW] x 3.6[h] x 30[day] = 10,800[kW]」

그럼 한달에 생산된 전력량과 위의 발전단가를 곱해주면 한달 수익률이 나오게 되는 것이죠.

2,138,400 [원] 이라는 수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4. 임야에 대한 규제 강화

산림훼손 등에 의한 이유로 산지에 대하여 많은 규제가 생겼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중치 부분인데, 임야 뿐만 아니라 현 시점에서의 가중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018/10/22 - [태양광] - 태양광 발전사업 문제점 무엇이 있을까? 전망에 대해 알아보자

2018/10/21 - [태양광] - 아파트 태양광 발전 설치로 인한 절감 효과

2018/10/21 - [태양광] -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금융지원에 대한 사항

2018/10/18 - [태양광] - 태양광발전 사업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진행하는가?